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가운데, 예기치 않은 이민 단속이라는 새로운 난관에 부딪혔습니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어진 대대적인 단속은 국내 기업들에게 큰 충격과 우려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법규 위반을 넘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와 자국민 우선주의 기조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풀이됩니다.
대규모 투자 현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단속 사태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위치한 현대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은 한동안 활기로 가득 찼습니다.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6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투자를 통해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전기차 시장의 핵심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5일, 미 국토안보부(DHS) 산하 기관들의 대규모 합동 단속으로 인해 475명이 체포되면서 공장 건설은 순식간에 중단되었습니다. 미 당국은 체포된 이들이 불법 체류자이거나 체류 자격 위반 상태에서 일하고 있었다고 밝혔고, 이들 중 대다수가 한국 국적이라는 사실은 더욱 큰 파장을 불러왔습니다.
이 단속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맞물려 그 의미가 더욱 깊어집니다. 그는 “ICE(이민세관단속국)가 자기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말하며 단속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경제적 협력을 넘어선 ‘이민’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그동안 한국 기업들이 현지 투자를 늘려 미국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국 우선주의’에 발맞춰 왔지만, 인력 운용 방식에 대한 미국의 잣대가 예상보다 훨씬 엄격하다는 점이 드러난 셈입니다.
한국 기업, 관행적 문제와 정책 변화 사이에서 고민하다
이번 사태가 발생하면서 다른 한국 기업들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에 파운드리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건설하는 등 미국 내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 역시 공사 현장 인력이나 단기 출장 인력의 비자 문제에 대해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랜 관행처럼 굳어진 B-1 비자나 전자여행허가(ESTA)를 이용한 단기 업무 수행이 이제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된 것입니다. 과거에는 비교적 관대하게 여겨졌던 출장 목적의 업무 활동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불법 취업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직원들에게 ESTA를 통한 출장 일정을 2주 이내로 제한하라는 내부 공지를 내리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단속의 숨겨진 의도: 미국인 고용 압박인가?
일각에서는 이번 이민 단속이 단순히 불법 체류자 색출을 넘어, 한국 기업들에게 미국인 고용을 확대하라는 압력을 넣기 위한 수단이라는 해석도 제기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부터 “불법 체류자들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고 주장해왔으며, 이는 그의 핵심 정책 중 하나입니다.
이미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8,500개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지만, 공장 건설 단계에서부터 외국인 노동력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를 보냈다는 분석입니다. 이는 앞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모든 기업이 단순히 투자를 넘어 ‘미국인 우선 고용’이라는 원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의 입장과 향후 전망
이번 사태에 대해 현대차 미국법인은 “법을 준수하지 않는 이에게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며, “미국 법률을 철저히 준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이번 사태의 책임이 불법 체류자를 고용한 하도급 업체에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며, 앞으로는 모든 협력사들이 법적 기준을 준수하도록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이제 단순한 투자 규모나 기술력을 넘어, 현지 법규와 사회적 분위기를 더 철저하게 분석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며, 인력 운용과 비자 문제에 대한 내부 가이드라인을 전면 재검토하는 것이 시급해 보입니다. 이번 사태는 한국 기업들에게 미국 시장 진출의 새로운 리스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